Showing posts with label 더위 먹었을 때 증상.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더위 먹었을 때 증상. Show all posts

온혈 질환 대처법(더위 먹었을 때)

 Q. 온열질환은 무엇인가요?

A. 열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온열질환은 두통, 어지럼,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Q. 온열질환 예방을 위한 건강수칙은 무엇인가요?

A. 온열질환은 기본적인 건강수칙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1. 물을 자주 마십니다.
- 갈증을 느끼지 않아도 규칙적으로 물을 자주 마십니다.
※ 신장질환 등 수분 섭취를 제한해야 하는 질병을 가진 경우에는 의사와 상담 후 결정합니다.

2. 시원하게 지냅니다.
- 시원한 물로 샤워를 합니다.
- 헐렁하고 밝은 색깔의 가벼운 옷을 입습니다.
- 외출 시 양산이나 모자 등으로 햇볕을 차단합니다.

3. 더운 시간대에는 휴식합니다.
- 낮 12시부터 오후 5시까지 가장 더운 시간대에는 휴식을 취합니다.
※ 자신의 건강 상태를 살피며 활동 강도를 조절합니다.

Q. 여름철 음식과 물은 어떻게 섭취해야 하나요?

A. 여름철에는 식사는 가볍게 하고, 물을 충분히 마시는 게 좋습니다.

뜨거운 음식과 과식을 피하고, 갈증이 나지 않더라도 규칙적으로 물을 마시는 게 좋습니다.

더운 날씨에 운동을 할 경우에는, 매시간 시원한 물을 마시는 게 좋습니다.

신장질환 등 수분 섭취를 조절해야 하는 환자는 의사와 상담 후 수분 섭취 빈도를 결정합니다.

Q. 여름철 갈증해소를 위해 술이나 커피, 탄산음료 등을 마셔도 되나요?

A. 여름철에는 수분을 충분히 섭취해야 하지만, 술이나 카페인이 다량 함유된 커피, 탄산음료 등을 마시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술이나 카페인 음료는 체온 상승, 이뇨 작용으로 탈수를 유발하고 숙면을 방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폭염 시에는 갈증이 나지 않더라도 물을 충분히 마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Q. 여름철 소금, 이온음료를 섭취해야 하나요?

A. 여름철 온열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소금이나 이온음료를 별도로 섭취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오랫동안 저염분 식이요법을 지속한 경우에는 전해질을 보충해 주어야 합니다.

의료인으로부터 소금이나 염분정제를 처방받았을 경우, 반드시 물에 타서 섭취하여야 합니다. 물을 충분히 섭취하지 않을 경우 탈수가 심해질 수 있습니다.

땀을 많이 흘렸을 경우에는 이온음료를 통해 수분과 전해질을 보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온음료 중에는 과당함량이 높은 경우가 있어 복용 시 주의해야 합니다.

염분 섭취를 제한해야 하는 질병(심장질환, 신장질환 등)을 가진 환자는 이온음료 혹은 염분 섭취 전에 의사와 상의해야 합니다.

Q. 여름철 온열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복장은 어떤 것이 있나요?

A. 어둡고 몸에 달라붙는 옷보다 가볍고 밝은 색의 헐렁한 옷이 좋습니다.

특히, 땀을 빠르게 흡수하고 빨리 건조되며 바람이 잘 통하는 소재의 의복이 좋습니다.

햇빛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챙 넓은 모자, 양산, 쿨토시 등을 사용하면 좋습니다.

Q. 만성질환자는 온열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 심뇌혈관질환자

운동을 할 때 평소 괜찮았던 운동 강도라도 더운 날씨에는 증상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개인의 몸 상태에 따라 평소보다 10~30% 낮게 운동 강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갑자기 냉수를 끼얹는 등 급격한 체온 변화는 심장이나 혈관에 무리가 가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갑자기 흉통이나 가슴이 답답해지는 증상이 나타나고 안정을 취해도 사라지지 않거나 점점 더 심해진다면 신속히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응급조치를 받아야 합니다.

▲ 저혈압/고혈압 환자

폭염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탈수를 막기 위해 충분한 수분과 전해질을 섭취합니다. 기존 질병을 치료하면서 필요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 당뇨병 환자

폭염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시원한 물을 충분히 마십니다. 당도가 높은 과일이나 음료수는 혈당을 상승시키고 소변량을 증가시켜 탈수가 심해질 수 있어 섭취를 피해야 합니다. 인슐린으로 혈당 조절을 하는 당뇨환자의 경우 운동 시 저혈당이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그 외 만성질환자나 온열질환에 취약한 경우

우리 몸의 체온을 조절하거나 체액량 등 신체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이나 어린이, 노인, 알코올 의존이 있는 사람 등은 온열질환의 위험이 더 높아 주의가 더욱 필요합니다.

* 의약품의 기능에 따라 땀 배출을 억제하거나(파킨슨병 치료제 등) 체액에 영향을 끼칠 수 있거나(이뇨제 등)혈압에 영향을 줄 수 있는(안정제, 촉진제 등) 경우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폭염 시 야외활동을 삼가고, 에어컨 등이 설치된 실내에 머무르면서 물을 적절하게 섭취하도록 합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더위 먹었을 때 대처법

 

주요 증상 및 대처법

<대표적인 온열질환 열사병과 일사병> - 더위 먹었을 때
- 주요 증상과 대처법

(열사)
· 고온 다습한 곳에 오래 머무를 경우
· 피부가 뜨겁고 건조하며 붉은색으로 변함
· 고열과 심한 두통, 식은땀, 탈진 증상
▶ 119에 즉시 신고하고 시원한 장소로 이동, 물로 몸을 적시거나 얼음을 수건에 싸서 빠르게 체온을 내림

(일사병)
· 태양 볕 아래 오래 머무를 경우

· 피부가 차갑고 축축해지며 얼굴이 창백해짐 
· 무력감, 현기증, 두통 증상
▶ 시원한 장소로 이동해 찬물, 이온음료 등을 충분히 마시고 30분 안에 증상이 회복되지 않으면 병원으로 이동

출처: 중앙응급의료센터

참조: 폭염을 슬기롭게 이겨내는 방법 5가지

폭염 시 행동요령을 꼭 숙지해 올 여름 건강하고 시원하게 보내세요!

폭염을 슬기롭게 이겨내는 방법 5가지 - 더위 먹었을 때 증상 및 해결

갈 수록 더워 지는 여름. 폭염이라는 말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듣는 말이 되어 버렸습니다. 그렇다면 폭염이란 무엇일까요? 폭염은 어떻게 이겨낼 수 있을까요? 

더위 먹었을 때(열사병, 일사병) 증상 및 대처법도 같이 알아봅시다. 

 폭염은 무엇일까요? 

(폭염주의보 33°C)
일 최고 체감온도가 33°C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발효됩니다.
또는 급격한 체감온도 상승 또는 폭염 장기화 등으로 중대한 피해발생이 예상될 때

(폭염경보 35°C)
일 최고 체감온도가 35°C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발효됩니다.
또는 급격한 체감온도 상승 또는 폭염 장기화 등으로 광범위한 지역에서 중대한 피해발생이 예상될 때

1. 더운 시간대 피하기(휴식하기)
한 여름에 가장 더운 시간대인 오후 2시부터 5시까지는 야외활동을 최대한 삼가고 휴식하세요!

2. 통풍이 잘되는 옷 입고 양산 쓰기
야외활동이 불가피한 경우 통풍이 잘되는 가벼운 옷을 입고, 뜨거운 햇볕을 차단하기 위해 챙 넓은 모자 또는 양산을 챙기세요!

3. 물 자주 마시기
갈증을 느끼지 않아도 15분~20분 간격으로 1컵(200ml) 정도씩 규칙적으로 물을 마셔 수분을 보충해주는 것이 좋아요!

4. 식중독 예방하기
가장 중요한 청결! 음식을 먹기 전, 외출 후에는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손을 깨끗하게 씻고 음식은 꼭 익혀드세요!

5. 온열질환 증상 대처법 숙지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될 때 발생할 수 있는 급성질환인 온열질환! 증상과 대처법을 미리 알아보고 대비해요!

참조 : 더위 먹었을 때 증상 및 대처법


폭염 시 행동요령을 꼭 숙지해 올 여름 건강하고 시원하게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