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한국 마법공식 성과.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한국 마법공식 성과. Show all posts

소형주 성장주 퀀트 드디어 부진


내가 가장 사랑하는 퀀트 포트폴리오 중 하나인 소형 성장주 퀀트가 드디어 월간 단위로 의미 있게 손해를 볼 것 같다. 

올해만 100% 수익률을 안겨 주었으면서, 작년까지 합쳐 5배가 오른 소형 성장주 퀀트.

개별 종목 투자로도 5배 벌기가 무척이나 어려운데, 20개의 포트로 구성된 포트폴리오가 2년간 400% 수익률을 거두었다는 것은 정말 운영하는 나도 믿기 어렵다. 

월간 단위로 보자면, 작년 3월 코로나 쇼크를 제외하고는 거의 손실이 없었으며 꾸준히 수익을 거두어 주었다. 

특히 저번 달에 월기준 20% 수익률을 찍으면서, 나를 몹시나 흥분시켰다. 

하지만 5,6 월달을 지나면서 불안감도 커지긴 했다. 

그 이유로는, 

1. 가치 지표들이 예전에 비해 너무 높아졌다. 

pbr, per이 예년에 비해서 확연히 높아졌다. 성장성을 고려해도 예년에 비해 높다. 질 좋은 싼 주식을 사야 하는데, 요즘은 비싼 가격에 사는 기분이 든다. 


2. 요즘 많은 사람들이 소형주에 투자하고 있다. 그리고 자신의 투자 수익률을 자랑하고 있다. 이는 매우 안 좋은 시그널이다. 

투자는 원래 남들과 반대로 해야 한다. 


3. 실제 수익률이 장기 백테스트 수익률을 너무 앞서고 있다. 원래 이 퀀트의 백테 수익률은 50% 선이고 목표 수익률은 40% 선이었다.(이것도 엄청 희망적으로 잡은 것이다.) 

그런데 2017년 부터 이 퀀트 전략으로 투자한 실계좌 연간 수익률이 70%를 훌쩍 뛰어넘고 있다. 

총 수익률이 아니다. 연간 수익률이 70%다. 이 것도 이번 달에 급격하게 떨어져서 70% 선이다. 

보통 백테스트 수익률과 비슷하게 나와도 해당 전략은 성공적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이 전략은 지금 백테 수익률을 아득하게 앞서고 있다. 

슬프지만 모든 것은 평균 회귀한다.


그래서 이번달 하락이 조금은 반갑다. 퀀트는 역설적이게도  너무 잘 먹히면 미래에는 안 먹힐 확률이 매우 높다. 

다수가 투자해서 다수가 돈을 벌었다는 전략은, "곧 이 전략의 수명이 다할 것이다" 라는 말과 같다. 

더 큰 하락이 올지도 모르겠다. 

물론 하락장은 괴롭다. 하지만 나는 여기서 꾸준히 버텨왔다. 이 다음 하락장에서도 나는 버틸 것이다.

하지만 대다수는 하락을 참지 못한다. 그리고 전략을 욕하면서 떠날 것이다. 

그리고 전략의 알파는 유지된다. 


참조 1 : 개인 투자자의 장점을 살리자

참조 2 : 과거 데이터로 본 공모주 투자

한국 주식시장에서 퀀트 투자는 유용한가? 주식 시장에서 돈 버는 방법 - 퀀트 마법공식

주식 시장의 호황으로 인해 개인 투자자가 폭발적으로 늘었다. 

하지만 아직 주식 투자를 도박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많고 기대 수익률이 높기에 저평가 가치주 투자보다는 성장주 투자에 집중하고 있다. 

최근 성장주의 수익률이 매우 높았기 때문에, 숫자로만 저평가를 평가해 주식을 매수하는 퀀트의 수익률이 최근에 낮아졌다고 말을 많이 한다. 실제로 미국에서 PER나 PBR을 이용하는 퀀트나, 조엘 그린블라트의 마법공식의 수익률은 형편없어졌다. 

하지만 한국에서도 그럴까? 한국에서 퀀트 투자는 유용한가?

가치 투자 퀀트 실제 수익률


퀀트 투자는 아직 효율적으로 작동한다. 적어도 한국에서는 분명히 잘 작동한다. 

물론 부침도 많다. 시장 수익률을 형편없이 하회할 때도 수도 없이 많다.

그럼에도 장기적으로 퀀트 투자는 주식 시장을 이길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다. 

수많은 백테스에서도 이를 알 수 있고, 내 실계좌 수익률도 이를 증명한다. 

인내심을 가지고 숫자를 믿어라. 그렇다면 주식 시장에서 반드시 돈을 벌 수 있다. 

한국 마법공식 종목 1년 성과(ROIC->GP/A)

1. ROIC를 GP/A 로 변경

2. 고 GP/A + 저 EV/EBITDA(원론과 비슷하게 두 지표만 고려)

3. 연간 매출 및 분기별 매출 성장률이 0 이상

4. 트레일링 현금흐름 0 이상

5. 시총 상하위 5% 제외

6. 20종목, 2달에 한번 리밸런싱

(3~6번은 개인 취향임)


기간: 2019.9.16~2020.9.11

누적 수익률: 30.72%

MDD: 37.68%

코스피: 16.96%

코스닥: 40.94%


코스닥을 이기지는 못 했지만 훌륭한 성과다.(올 일년 동안 퀀트 투자로 코스닥 지수를 이기는 것은 정말 쉽지 않다.) 

소형주보다 중대형주 비중이 높았고, 매달 리밸런싱도 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코스피의 2배 이상, 코스닥과 비슷한 수익률이면 괜찮지 않은가? 

물론 이 방법 그대로 투자를 추천하지는 않는다. 

다만 ROIC를 GP/A로 바꾸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라는 것이 1년간의 성과에서도 확인된다.